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468
문제
재난방재청에서는 많은 비가 내리는 장마철에 대비해서 다음과 같은 일을 계획하고 있다. 먼저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를 파악한다. 그 다음에 그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렸을 때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이 최대로 몇 개가 만들어 지는 지를 조사하려고 한다. 이때, 문제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장마철에 내리는 비의 양에 따라 일정한 높이 이하의 모든 지점은 물에 잠긴다고 가정한다.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는 행과 열의 크기가 각각 N인 2차원 배열 형태로 주어지며 배열의 각 원소는 해당 지점의 높이를 표시하는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다음은 N=5인 지역의 높이 정보이다.
6 | 8 | 2 | 6 | 2 |
3 | 2 | 3 | 4 | 6 |
6 | 7 | 3 | 3 | 2 |
7 | 2 | 5 | 3 | 6 |
8 | 9 | 5 | 2 | 7 |
이제 위와 같은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려서 높이가 4 이하인 모든 지점이 물에 잠겼다고 하자. 이 경우에 물에 잠기는 지점을 회색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6 | 8 | 2 | 6 | 2 |
3 | 2 | 3 | 4 | 6 |
6 | 7 | 3 | 3 | 2 |
7 | 2 | 5 | 3 | 6 |
8 | 9 | 5 | 2 | 7 |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이라 함은 물에 잠기지 않는 지점들이 위, 아래,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인접해 있으며 그 크기가 최대인 영역을 말한다. 위의 경우에서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은 5개가 된다(꼭짓점으로만 붙어 있는 두 지점은 인접하지 않는다고 취급한다).
또한 위와 같은 지역에서 높이가 6이하인 지점을 모두 잠기게 만드는 많은 비가 내리면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은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네 개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6 | 8 | 2 | 6 | 2 |
3 | 2 | 3 | 4 | 6 |
6 | 7 | 3 | 3 | 2 |
7 | 2 | 5 | 3 | 6 |
8 | 9 | 5 | 2 | 7 |
이와 같이 장마철에 내리는 비의 양에 따라서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개수는 다르게 된다. 위의 예와 같은 지역에서 내리는 비의 양에 따른 모든 경우를 다 조사해 보면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개수 중에서 최대인 경우는 5임을 알 수 있다.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가 주어졌을 때, 장마철에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최대 개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어떤 지역을 나타내는 2차원 배열의 행과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 N이 입력된다. N은 2 이상 100 이하의 정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각 줄에는 2차원 배열의 첫 번째 행부터 N번째 행까지 순서대로 한 행씩 높이 정보가 입력된다. 각 줄에는 각 행의 첫 번째 열부터 N번째 열까지 N개의 높이 정보를 나타내는 자연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입력된다. 높이는 1이상 100 이하의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장마철에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6 8 2 6 2
3 2 3 4 6
6 7 3 3 2
7 2 5 3 6
8 9 5 2 7
예제 출력 1
5
내리는 비의 양에 대한 안전 지역의 모든 경우를 다 조사해야 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비가 오지 않는 경우도 고려하여 0부터 주어진 높이 정보의 최댓값까지의 경우를 임의로 설정하여 안전 지역의 갯수를 파악해야 한다. (주어진 높이 정보의 최댓값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최댓값보다 비가 잠기는 높이가 더 높을 경우 지역 전체가 잠기기 때문이다.) BFS를 사용하여 각 비의 양에 따른 안전 지역 개수를 max_list에 저장해 최댓값을 구하였다.
인접한 최대 안전 지역의 영역을 어떻게 구해야 할지 접근하는 것이 어려웠는데
비의 높이를 0부터 시작하여 조건을 검사하고, BFS를 이용해 인접한 영역의 안전 지역 개수를 저장하면 된다.
for h in range(max_height + 1):
visited = [[False] * n for _ in range(n)]
coun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region[i][j] > h and visited[i][j] == False:
bfs(i, j, h)
count += 1
나의 풀이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def bfs(x, y, h):
dx = [-1, 1, 0, 0]
dy = [0, 0, -1, 1]
q = deque()
q.append([x, y])
visited[x][y] = True
while q:
x, y = q.popleft()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0 <= nx < n and 0 <= ny < n and region[nx][ny] > h and visited[nx][ny] == False:
visited[nx][ny] = True
q.append([nx, ny])
n = int(input())
max_list = [] # 안전 영역 최대 개수
region = []
for _ in range(n):
region.append(list(map(int, input().split())))
max_height = max(map(max, region))
for h in range(max_height + 1):
visited = [[False] * n for _ in range(n)]
coun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region[i][j] > h and visited[i][j] == False:
bfs(i, j, h)
count += 1
max_list.append(count)
print(max(max_list))
'코딩테스트 > 백준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1890번 / 점프 / python 파이썬 (0) | 2025.01.27 |
---|---|
백준 / 2468번 / 안전 영역 / python 파이썬 (0) | 2025.01.21 |
백준 / 5430번 / AC / python 파이썬 (0) | 2025.01.13 |
백준 / 18352번 /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BFS) / python 파이썬 (0) | 2025.01.10 |
백준 / 1520번 / 내리막 길 / python 파이썬 (0) | 2025.01.07 |